노티드 창업 비용, 예상 매출, 순수익, 손익분기점 분석 (도넛계의 아이폰 살아남을까?)
도넛 브랜드 노티드 (Knotted)가 프랜차이즈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지금까지는 직영점 형태로 운영되었지만, 이제는 가맹점을 모집하여 전국적으로 확장하려는 계획이다. 하지만, 창업을 고려하는 사람이라면 몇 가지 중요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 노티드는 왜 프랜차이즈를 시작했을까?
- 창업 비용은 얼마가 들까?
- 가맹점으로 운영했을 때 수익성이 있을까?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을 하나씩 살펴보자. 이번 글에서는 노티드 창업 비용, 예상 매출, 순수익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노티드는 왜 프랜차이즈 사업을 시작했을까?
노티드를 운영하는 GFFG(Good Food For Good)는 2024년 12월, 프랜차이즈 사업을 위한 정보공개서를 등록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수익성 개선”이다. 즉, 회사의 재정 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프랜차이즈를 통해 수익을 늘리려는 전략이다.
GFFG의 2023년 재무 현황
항목 | 금액 |
---|---|
영업이익 | -71억 원 (적자) |
당기순이익 | -93억 원 (적자) |
GFFG는 직영점 확장을 공격적으로 진행해 왔다. 하지만, 직영점 운영에는 높은 고정비(임대료, 인건비 등)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적자가 누적되었다. 프랜차이즈 사업을 시작하면 초기 투자비용(인테리어, 장비 등)은 가맹점주가 부담하고, 본사는 로열티 수익을 얻는 방식이 된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위험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려는 것이 이번 프랜차이즈 사업의 핵심 목표라고 볼 수 있다.
노티드 창업 비용 분석
프랜차이즈를 시작한다고 해서 누구나 창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특히 노티드는 초기 창업 비용이 매우 높은 브랜드다.

기본 창업비용 (부가세 포함)
항목 | 비용 |
---|---|
가맹비 | 2,750만 원 |
교육비 | 550만 원 |
보증금 (계약 종료 시 반환) | 1,000만 원 |
기타 비용 | 3억 2,671만 원 |
인테리어 비용 (45평 기준) | 1억 9,800만 원 |
추가 공사비 (냉난방, 전기, 소방 등) | 1억 원 |
총 창업 비용 (부동산 제외) | 6억 원 이상 |
총 창업 비용 (부동산 포함) | 7억 원 이상 |
노티드 가맹점을 창업하려면 최소 6~7억 원 이상의 자금이 필요하다.
이는 일반적인 카페 프랜차이즈에 비해 상당히 높은 금액이다.
초기 창업 비용이 높다는 것은, 손익분기점(BEP)에 도달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즉,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매출이 보장되어야 한다.
노티드 가맹점 수익성 분석
창업 비용이 높다면, 그만큼 높은 수익이 기대되어야 한다.
하지만, 노티드의 가맹점 운영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카페 운영 방식을 기준으로 예상 수익을 계산해 보았다.
월 매출 1억 원 기준 예상 수익 분석
항목 | 비율 (%) | 금액 (만원) |
---|---|---|
식재료비 | 35% | 3,500 |
인건비 (직원 4명) | – | 2,500 |
임대료 | – | 1,500 |
로열티 (매출의 2%) | – | 200 |
기타 비용 (마케팅, 관리비 등) | 4% | 400 |
순수익 (세전) | 23.7% | 2,370 |
순수익 (세후, 4대 보험 포함) | 14.6% | 1,460 |
위 데이터를 보면, 세전 순수익은 2,370만 원, 세후 순수익은 1,460만 원 수준이다.
노티드 손익분기점 (BEP) 계산
노티드 가맹점 창업비용을 7억 원으로 가정했을 때, 투자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기간을 계산해 보자.
- 월 세후 순수익 1,460만 원 × 12개월 = 연 순수익 약 1억 7,520만 원
- 7억 원 ÷ 연 순수익 1억 7,520만 원 = 약 4년
즉, 최소 4년 동안 안정적인 매출이 유지되어야 본전을 회수할 수 있다.
하지만, 매출이 기대만큼 나오지 않거나, 운영 비용이 증가하면 회수 기간은 더 길어질 수 있다.
가맹점에서 판매할 메뉴는?
기존 직영점과 동일한 메뉴를 운영할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특히 재료비 부담이 큰 베이커리류는 일부만 운영할 가능성이 높다.

메뉴 카테고리 | 제품 개수 | 예상 운영 방식 |
---|---|---|
도넛 | 21가지 | 대부분 운영 가능 |
베이커리 (소금빵) | 7가지 | 일부만 운영 가능 |
케이크 | 6가지 | 조각 판매 여부 미정 |
음료 | 다양한 종류 | 전 제품 판매 가능성 높음 |
특히 케이크의 경우, 홀 케이크만 판매할지 조각 케이크도 판매할지는 미정이다.
이는 가맹점의 수익성과 재고 관리 문제를 고려하여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노티드 프랜차이즈, 성공 가능성은?
장점
- 기존에 강력한 브랜드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 20~30대 여성 타깃층이 명확하고, 고객 충성도가 높다.
- 프리미엄 디저트 시장에서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가 있다.
단점
- 창업 비용이 지나치게 높아 진입 장벽이 크다.
- 아직 가맹점 운영 데이터가 없어, 수익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 가맹점이 늘어날수록 브랜드 희소성이 떨어질 수 있다.
노티드 창업, 도전할 만할까?
노티드는 이미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가지고 있지만, 창업 비용이 너무 높아 가맹점주의 부담이 크다.
또한, 손익분기점까지 최소 4~5년이 걸릴 가능성이 높다.
단순히 브랜드 인지도만 믿고 창업하기보다는, 정확한 상권 분석과 사업성 검토가 필수적이다.
특히, 초기 투자금을 감당할 수 있는 자본력이 있는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프랜차이즈 창업을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노티드가 본사와 가맹점의 균형을 어떻게 맞춰갈지 지켜본 후 결정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