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능사 실기 공부법, 과목별, 최종 합격 전략(이렇게만 하면 100% 합격)
2026년부터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시험이 프로그래밍 기능사로 개편됩니다. 이는 단순한 명칭 변경이 아니라 시험의 핵심 내용과 난이도가 달라지는 중요한 변화입니다. 따라서, 현재의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시험이 시행되는 2025년이 마지막 기회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시험을 한 번에 합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공부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시험 개요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시험은 컴퓨터의 기본 개념부터 프로그래밍,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SQL)까지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에서 시험의 주요 내용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구분 | 내용 | 비고 |
---|---|---|
시험 방식 | 필답형(주관식, 서술형) | OMR 카드 사용 없음 |
출제 범위 | 운영체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 총 5개 영역 |
문제 유형 | 단답형, 서술형, SQL 쿼리 작성 | 개념 암기 + 실무형 문제 |
합격 기준 |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 과락 없음 |
2026년 변경 사항 | 프로그래밍 기능사로 개편 | 난이도 상승 예상 |
예상되는 출제 유형 예시
- 운영체제: 페이징 기법이 무엇인가? (서술형)
- 네트워크: OSI 7계층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2개 이상 서술하시오. (단답형)
- 프로그래밍: C 언어에서
for
문을 사용하여 1부터 10까지의 합을 구하는 코드를 작성하시오. (코드 작성) - 데이터베이스:
SELECT
문을 사용하여employees
테이블에서salary
가 5000 이상인 직원을 조회하는 SQL 문을 작성하시오. (SQL 작성)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블랙박스 테스트와 화이트박스 테스트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서술형)
정보처리기능사 과목별 공부법
정보처리기능사 실기는 5가지 핵심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각 영역별 핵심 개념과 학습 전략을 정리했습니다. 시험에서 출제되는 5가지 영역(운영체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에 대한 구체적인 공부법과 예시를 설명하겠습니다.

(1) 운영체제
운영체제에서는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관리, 파일 시스템 개념이 자주 출제됩니다.
출제 예상 예시
Q. 페이징(paging)과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구분 | 페이징 (Paging) | 세그먼테이션 (Segmentation) |
---|---|---|
기본 개념 | 고정 크기의 페이지 단위로 메모리를 관리 | 가변 크기의 세그먼트 단위로 메모리를 관리 |
주소 구조 | 페이지 번호 + 오프셋(offset) | 세그먼트 번호 + 오프셋 |
단점 | 내부 단편화 발생 가능 | 외부 단편화 발생 가능 |
공부법 예시
✔️ 운영체제 핵심 개념을 도식화하여 정리한다.
✔️ 페이징 vs 세그먼테이션
, 프로세스 vs 스레드
같은 비교 문제를 표로 정리한다.
✔️ 기출 문제를 풀면서 서술형 답안을 직접 작성해 본다.
(2) 네트워크
네트워크는 컴퓨터 간 데이터 통신을 담당하는 영역으로, OSI 7계층 모델과 주요 프로토콜이 핵심 출제 내용입니다.

OSI 7계층 요약 (중요!)
계층 | 주요 기능 | 프로토콜 예시 |
---|---|---|
1계층 (물리 계층) | 전기적 신호 전송 | 이더넷, RS-232 |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 MAC 주소 기반 데이터 전송 | 스위치, ARP |
3계층 (네트워크 계층) | IP 주소 기반 데이터 전달 | IP, ICMP, 라우터 |
4계층 (전송 계층) | 데이터 전송 제어 (TCP/UDP) | TCP, UDP |
5계층 (세션 계층) | 통신 세션 관리 | NetBIOS |
6계층 (표현 계층) | 데이터 변환 (압축, 암호화) | JPEG, TLS |
7계층 (응용 계층) | 사용자와 직접 연결 | HTTP, FTP, DNS |
공부법
- OSI 7계층을 암기하고 계층별 역할과 프로토콜을 이해한다.
- 네트워크 기본 개념을 시각적으로 정리한 후 반복 학습한다.
- 실제 기출 문제를 풀며 어떤 유형이 출제되는지 확인한다.
출제 예상 예시
Q. OSI 7계층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설명하시오.
계층 | 프로토콜 | 특징 |
---|---|---|
4계층 (전송 계층) | TCP (전송 제어 프로토콜) | 신뢰성 있는 연결, 흐름 제어 |
4계층 (전송 계층) | UD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 비연결형, 빠르지만 신뢰성이 낮음 |
공부법 예시
✔️ OSI 7계층을 도표로 정리하여 암기한다.
✔️ TCP vs UDP
, HTTP vs HTTPS
등 비교 문제를 정리한다.
✔️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실제로 어디에서 사용되는지 사례 분석을
(3) 프로그래밍 (C, Java 등)
프로그래밍 영역에서는 기본적인 문법과 알고리즘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합니다.
중요 개념
- 변수, 자료형, 연산자
- 조건문(if, switch), 반복문(for, while)
- 함수의 개념과 활용
- 배열과 포인터 개념
- 파일 입출력
공부법
- 기본적인 문법을 정리하고, 직접 코딩 연습을 한다.
- 간단한 알고리즘 문제를 풀어보며 논리적 사고력을 기른다.
- 기출 문제에서 자주 나오는 코드 패턴을 익힌다.
출제 예상 예시
✅ Q. C 언어를 사용하여 1부터 10까지의 합을 구하는 코드를 작성하시오.
c#include <stdio.h>
int main() {
int sum = 0;
for (int i = 1; i <= 10; i++) {
sum += i;
}
printf("1부터 10까지의 합: %d\n", sum);
return 0;
}
✅ 공부법 예시
✔️ if
, for
, switch
등 기본 문법을 직접 작성해 본다.
✔️ 입출력
, 배열
, 포인터
같은 기본 개념을 정리한다.
✔️ 기출 문제의 코드를 직접 타이핑하면서 실행해 본다.
(4) 데이터베이스(SQL)
SQL 문제는 실무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직접 작성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주 출제되는 SQL 문법
SQL 문 | 설명 | 예시 |
---|---|---|
SELECT | 데이터 조회 | SELECT * FROM users; |
INSERT | 데이터 추가 | INSERT INTO users (id, name) VALUES (1, '홍길동'); |
UPDATE | 데이터 수정 | UPDATE users SET name = '김철수' WHERE id = 1; |
DELETE | 데이터 삭제 | DELETE FROM users WHERE id = 1; |
출제 예상 예시
Q. employees 테이블에서 salary가 5000 이상인 직원 정보를 조회하는 SQL 문을 작성하시오.
sqlSELECT * FROM employees WHERE salary >= 5000;
공부법 예시
✔️ SELECT
, INSERT
, UPDATE
, DELETE
문법을 직접 연습한다.
✔️ 데이터베이스에서 JOIN
, GROUP BY
, HAVING
등의 고급 문법을 익힌다.
✔️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SQL 문장을 기출 문제를 통해 분석한다.
(5)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애플리케이션 테스트는 비중이 낮지만, 기본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중요 개념
- 화이트박스 테스트 vs 블랙박스 테스트
-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 버그와 디버깅 개념
공부법
- 주요 용어를 이해하고 개념을 정리한다.
- 시험에서 어떤 유형의 문제가 나오는지 파악한다.
출제 예상 예시
Q. 화이트박스 테스트와 블랙박스 테스트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구분 | 화이트박스 테스트 | 블랙박스 테스트 |
---|---|---|
기본 개념 |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테스트 | 기능만 확인하는 테스트 |
테스트 대상 | 내부 구조, 알고리즘 | UI, 기능 작동 여부 |
공부법 예시
✔️ 테스트 종류
, 디버깅 개념
을 정리한다.
✔️ 실전에서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출제하는지 분석한다.
최종 합격 전략
효율적인 공부법 정리
1단계: 기본 개념 정리 → 노트 필기 및 개념 암기
2단계: 기출 문제 분석 → 출제 패턴 파악
3단계: 실전 모의고사 → 시간 제한 두고 문제 풀이 연습
4단계: 약점 보완 → 틀린 문제 위주로 복습
시험 직전 체크리스트
기출 문제 3년 치 완벽 정리했는가?
OSI 7계층과 주요 프로토콜을 외웠는가?
SQL 문법을 직접 작성해보았는가?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을 숙지했는가?
